대원자재 시대에서 석유, 가스 등 에너지의 급등과 곡물의 무기화 등 원자재를 통한 다양한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독 언급되지 않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물'입니다. 물이라면 모든 나라가 가지고 있고 많은 수요를 가지고 있는 원자재입니다. 현재 물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 않지만, 곧 이야기가 나와야 할 중요한 원자재입니다. 필수소비재이면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이 물에 대해서 낱낱이 파헤쳐보겠습니다.
1. 문제가 많은데 언급이 없는 물.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년 기준으로 전세계 인구는 77.5억 명입니다. 지금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사용될 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은 엄청나게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마시거나 이용하는 생활용수, 농업에 쓰이는 농업용수와 공업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 쓰이는 공업용수가 있습니다.
위 그래프는 대한민국에서의 수자원 이용현황입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어느 정도 박스권을 그리고 있지만 현재 공업의 발전과 농업의 중요성이 더해져 지금보다 더 많은 이용을 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반도체에도 물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늘어난 파운드리나 IDM 업체들을 통해서 더 많이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고 '25년까지 모든 공장들이 완공이 된다면 많은 공업용수가 사용될 전망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를 통한 문제에서도 물에 대한 위협은 진행되고 있습니다. 위 기사가 그러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헤드라인은 많이 올라오지만 물과 관련된 위험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물이 적거나 오염이 된다면 사람, 기업 그리고 경제에 대해서도 큰 악영향을 끼친다고 하는데요. 금융, 금속 및 광업, 반도체에 대해서 투자자들은 리스크 평가를 해야 된다고 했습니다. 연관이 없을 것 같은 금융이 나온 이유는 이러한 회사채를 매입하거나 주식을 매입하면서 물에 대한 리스크를 통해서 손실을 볼 수 있다고 이야기를 하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비영리 단체인 CDP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전략적 의사 결정에 대해서 물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지 않아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잃고 있다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아무튼 이러한 이야기가 오고 가는 이유는 현재 지금도 물이라는 것에 대해서 가격을 매기면서 거래가 오고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손실을 보게 되는 것일까요?
2. 물 가격에 대한 리스크 대비
현재 보시는 그래프는 나스닥 선물 중에서 캘리포니아 물 인덱스 상품입니다. 이 상품을 보시면 '21년 반등 이후 다시 가격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변동은 시장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앞으로 날이 갈수록 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기후 문제로 인한 공급 부족 현상이 올 수 있기에 물이 한 번 타격을 입게 된다면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비영리단체 CDP가 왜 가계 혹은 기업이나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던 이유가 바로 이 이유인 듯합니다.
3. 대책은 무엇일까? + 마무리
물 부족 대책으로는 대부분 지하수나 댐 개발 혹은 담수화 그리고 물 사용 효율화가 대표적인 사안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물 인프라 건설에 대해서 많은 투자가 와야 되는 것인데요. 하지만 댐이나 지하수 개발 같은 경우 이것도 마찬가지로 환경에 대해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터라서 현재로써는 담수화 혹은 물 사용 효율화가 대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인프라 투자를 위해 바이든 정부가 내놓았던 그린 뉴딜 정책인 일명 BBB는 물 인프라 투자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의 물 사용에 대한 최선의 개선점은 물 사용 효율화이기에 많은 인프라 투자가 필요해 보일 지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역대급 기후 변화를 통해서 가뭄이나 폭염을 통해서 공급이 부족할 수 있는 경우의 수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가항력적인 일에 대해서는 향후 수요는 많지만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의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기에 가계나 기업 그리고 농업에 대해서도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인프라 투자가 필수적으로 해야 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보아야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